1. 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
2. 계산기 활용 방법
3. 주휴수당 지급 조건
4. 지급 시 유의사항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6. 주휴수당이란?
근로자라면 누구나 궁금해하는 주휴수당(週休手當)! 법정수당 중 하나인 주휴수당은 일정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유급휴일 보장 제도입니다. 하지만 지급 조건, 계산법, 지급 기준을 정확히 모르면 받을 권리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주휴수당 지급 기준, 계산법,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 방법까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
주휴수당은 1일 소정 근로시간 × 시급으로 계산됩니다.
공식
1일 소정 근로시간 × 시급
예제 1 – 주 40시간 근무하는 경우
시급: 12,000원
하루 8시간, 주 5일 근무
주휴수당 = 8시간 × 12,000원 = 96,000원
예제 2 – 아르바이트 근무 (주 20시간)
시급: 10,000원
하루 4시간, 주 5일 근무
주휴수당 = 4시간 × 10,000원 = 40,000원
2.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 방법
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고 싶다면 온라인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주휴수당 계산기 이용 방법
1️⃣ 포털사이트에서 ‘주휴수당 계산기’ 검색
2️⃣ 시급, 주 근무시간 입력
3️⃣ 자동으로 주휴수당 계산
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해 보다 정확하게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.
3. 지급 조건
지급 기준은 유지되며,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하면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- 1주 동안 소정 근로일을 개근할 것
- 1주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
주의할 점
- 무단결근이 있으면 주휴수당 미지급 가능
- 단시간 근로자(아르바이트 포함)도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지급 대상
예시 1
주 5일, 하루 4시간 근무 (총 20시간)
한 주 동안 개근했음
-> 주휴수당 지급 가능
예시 2
주 5일, 하루 3시간 근무 (총 15시간 미만)
주 1회 결근함
-> 주휴수당 지급 불가
4. 지급 시 유의사항
계약서 확인 필수
주휴수당이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
최저임금 위반 여부 체크
포함 후 월 최저임금(2025년 기준 10,150원 이상) 미만인지 확인하세요.
미지급 시 신고 가능
사업주가 지급하지 않으면 고용노동부 신고 가능
주의할 점
- 일용직(1일 단위 근로) 근로자는 지급 대상이 아닐 수도 있음
- 무급 휴무일은 지급 대상이 아님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받지 못했어요. 어떻게 해야 하나요?
- 사업장에 먼저 문의 후 지급 요청
-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 신고 가능 (국번 없이 1350)
Q2.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될 수 있나요?
기본급과 별도로 지급해야 하므로 포함 불가
Q3. 아르바이트도 받을 수 있나요?
주 15시간 이상, 개근하면 받을 수 있음
Q4. 주휴수당 지급일은 언제인가요?
통상 월급, 급여 지급일에 함께 지급
Q5. 4대보엄 미가입자도 받을 수 있나요?
가능
6. 주휴수당이란?
일정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가 법정 유급휴일(주휴일)을 가질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.
핵심 내용
-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지급
- 1주일 동안 소정 근로일을 개근하면 발생
- 유급휴일(주휴일) 하루치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