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5년 최저시급 월급, 계산방법, 실수령액 확인하기

by 다섯의힘 2025. 2. 20.

1. 2025년 최저시급
2. 최저시급 계산법 & 실수령액 확인 방법

3. 인상률과 과거 비교
4. 인상의 영향 (소상공인 vs 근로자)


 

 


2024년(9,860원)보다 170원(1.7%) 인상되었습니다. 최저시급 인상은 아르바이트생, 직장인, 소상공인, 기업, 소비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제 이슈입니다. 

 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시급 변동과 실수령액 계산법, 그리고 경제적 영향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또한, 직접 월급을 계산할 수 있는 최저시급 계산기도 제공하니, 자신의 급여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1. 2025년 최저시급

 

최저임금은 1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며,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포함한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
 

  • 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  • 2024년 최저시급: 9,860원
  • 인상률: 1.7% (170원 인상)

 

월급 환산 (주 40시간 기준, 월 209시간 근무 시)
10,030원 × 209시간 = 2,096,270원

 

 

 

 

 

2. 최저시급 계산법 & 실수령액 확인 방법

 

주휴수당을 포함한 실제 수령액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싶으시다면, 아래의 모의계산기로 알 수 있습니다.


최저시급 계산 공식

월급 = 최저시급 × 월 근무시간 (209시간 기준)

 

 

 

2025년 최저시급 기준 월급 계산
10,030원 × 209시간 = 2,096,270원

 

하지만 여기서 4대 보엄, 세금 등을 공제하면 실수령액은 달라지게 됩니다.

 

 

 

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접속 > 최저임금 모의계산 해보기

 

 

 

 

 

 

3. 인상률 & 과거 비교


최근 5년간 변동을 살펴보겠습니다.

 


2025년 인상률(1.7%)은 최근 몇 년간의 인상률과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4. 인상의 영향 (소상공인 vs 근로자)


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

  • 월급 상승 → 실질 소득 증가
  • 생활 안정 → 근로 의욕 상승
  • 소비 증가 가능성

 

 

 

소상공인·기업의 입장

  • 인건비 부담 증가 → 가격 인상 압박
  • 자동화(키오스크 등) 도입 증가
  • 인력 감축 가능성